• LOGIN
  • JOIN
  • CONTACT US
  • ENGLISH
  • KSNRE
  • AFORE 2021

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

  • 학회소개
  • 학술대회
  • 학회지
  • 정보마당
  • 회원마당
  • RE100
  • 학회소개

    • 인사말
    • 역대회장
    • 소개 및 연혁
    • 조직 및 위원회
    • 정관 및 규칙
    • 오시는 길
  • 학술대회

    • 국내 학술대회
    • 국제 학술대회
    • 지난 학술대회
    • 학술대회 갤러리
  • 학회지

    • 저널홈페이지
    • e-Submission
    • 연구윤리규정
  • 정보마당

    • 공지사항
    • 회원소식
    • 관련기관소식
    • 갤러리
  • 회원마당

    • 회원가입 및 안내
    • 로그인
    • 특별 회원사 명단
  • RE100

    한국신·재생에너지학회 전체메뉴

  • 학회소개

    • 인사말
    • 역대회장
    • 소개 및 연혁
    • 조직 및 위원회
    • 정관 및 규칙
    • 오시는 길
  • 학술대회

    • 국내 학술대회
    • 국제 학술대회
    • 지난 학술대회
    • 학술대회 갤러리
  • 학회지

    • New & Renewable Energy
    • e-Submission
  • 정보마당

    • 공지사항
    • 회원소식
    • 관련기관소식
    • 갤러리
    • RE100
  • 회원마당

    • 회원가입 안내
    • 회원가입
    • 로그인
    • 특별 회원사 명단
  • RE100

닫기
  • 정보마당
  • 공지사항
    • 공지사항
    • 회원소식
    • 관련기관소식
    • 갤러리
    • RE100

공지사항

글보기
『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국민인식조사』 결과_한국갤럽
  • 작성자 관리자
  • 등록일 2018-09-17
  • 조회 837
  • 첨부파일 (17일 8시)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결과.pdf

 

신·재생에너지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결과

신·재생에너지 이용 확대 찬성 86.2%, 반대 11.2%

환경적 측면, 에너지 자립 측면, 신산업과 일자리 창출 측면에서 신·재생에너지가 기존 에너지 보다 낫다는 의견이 각각 82.5%, 64.6%, 60.4%로 나타남

에너지 정책 수립 시 주요 우선순위 환경성, 경제성, 위험성, 해외 의존도 順

 

□ 2018년 9월 17일 한국신·재생에너지학회(회장 진우삼)와 (사)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(이사장 윤형기)와 공동으로 실시한 “신·재생에너지에 대한 국민인식조사” 결과를 발표하였다.

 

□ 동 조사는 신·재생에너지에 대한 잘못된 정보와 오해가 확산되는 상황에서 본 조사와 같은 대국민 소통을 통해 향후 신·재생에너지에 대한 객관적 정보를 제공하고, 향후 신·재생에너지 확대에 대한 방향성과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.

 

□ 조사방식은 17개 시/도별 변형비례배분, 성별, 연령별 비례배분을 적용하여 1,003명의 표본을 15개 설문항목에 대하여 2018.9.6.~2018.9.10. 기간 중 전화조사를 실시하였으며, 표본오차는 ±3.1%p(신뢰수준 95%)이다.

 

 

 

□ 신·재생에너지 이용을 확대하는 것에 대해서는 ‘매우 찬성한다 53.2%’, ‘약간 찬성한다 33.0%’로 찬성한다는 답이 총 86.2%에 달하였다.

 

□ 신·재생에너지의 장점(지구온난화 대응, 자연에서 무한정 얻을 수 있음, 신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)에 대해서는 동의한다는 답이 각각 78.8%, 78%, 73%로 나타났다.

○ 반면에 응답자는 신·재생에너지의 단점으로 높은 발전단가, 적은 잠재량, 날씨 민감성 등에 대해 각각 64.4%, 36.8%, 82.4%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

 

□ 신·재생에너지와 기존 에너지(석탄, 원자력 등)간 환경적 측면(지구온난화 대응, 미세먼지 저감)에 대한 비교에서는 신·재생에너지가 낫다는 의견이 82.5%로 나타났다.

○ 또한, 에너지 자립 확보와 신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 측면에서도 신·재생에너지가 기존 에너지원보다 각각 64.6%, 60.4%의 비교우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.

 

 

 

 

□ 우리나라 정책 수립 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우선순위는 환경오염 발생을 줄여야함(42.2%), 경제성이 있어야 함(28.1%), 대형 안전사고 위험성을 줄여야 함(19.4%), 자원의 해외 의존도가 낮아야 함(9.8%) 순으로 답하였다.

 

□ 우리나라에 발전소를 추가적으로 건설해야 할 때 어떤 발전소를 기피하는지에 대한 조사에서는 원자력 발전소를 반대한다는 의견이 47.1%로 가장 높았다(석탄 발전소 35.6%).

○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 발전소가 건설된다는 조건에서는 원자력 발전소를 반대한다는 의견이 57.4%로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(석탄 발전소 30.0%).

 

□ 진우삼 한국신·재생에너지학회 회장은 대국민 소통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신·재생에너지에 대한 잘못된 우려와 편견을 불식시키는데 학문적·기술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. 

  • 이전글 | 산업기술혁신평가단 신규 등록 및 정보 업데이트 요청
  • 다음글 | 2018 산업기술진흥 유공 및 대한민국 기술대상 포상 신청 공고

목록

  • 개인정보취급방침
  • 이메일무단수집거부

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

(05836)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11길 25 H비지니스파크 B동 515호
사업자등록번호: 119-82-03802 / 대표자명 : 이준신
TEL : 02-883-8051 | FAX : 02-883-8042 / E-mail : ksnre@ksnre.or.kr
Copyrightⓒ Korean Society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(KSNRE). All Rights Reserved

개인정보취급방침

이메일무단수집거부